Review117 [iOS] Pizza Vs. Skeletons 게임 앱 리뷰 (피자로 스켈레톤을 부시자) 좀비는 게임의 재료로 쓰이기에 충분했다. 'Plants Vs Zombie' 'Zombie Cafe' 'Zombie Highway' 등 많은 앱들이 유저들에게 사랑받고 있고 앞으로도 좀비라는 키워드는 유명할 것이다. 그러나 어찌 생각해보면 식상하기도 하다. 그만큼 기대수준은 올라가 있고 게임의 방식도 너무 뻔하다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iOS] Pizza Vs. Skeletons 아이폰 아이패드 앱 다운로드 Angry Birds 라는 대히트를 기록한 게임이 있다고 해서 너도나도 그런 스타일의 게임을 만든다면 유저도, 제작자도 웃을 수 있는 상황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Temple Run' 의 아이디어를 이용, 변형하여 'Zombie Run' 'Chasing Yello' 같은 게임들은 신선하기도 하였다.. 2012. 12. 17. 오로라 외장배터리 PS7200 리뷰 (아이폰 5 에 어울리는 외장배터리) 오로라 외장배터리 PS7200 리뷰 아이폰 5 공동구매로 외장배터리를 얻었다. 예전부터 스마트기기를 자주 사용하는 바람에 스마트 폰은 꺼지기 일쑤였고 그 덕에 항상 충전 케이블과 외장 배터리를 들고 다녔었다. 이전에 사용하던 녀석은 사용한 지 오래돼서 쉽게 떨어져서 난감한 적도 많다. 오로라 외장배터리는 예전부터 나중에 구매하고 싶었던 제품이었다. 외장배터리에 대해 검색을 하다 보면 믿을 만하고 쓸만한 수준의 배터리가 얼마 있지도 않을 뿐더러 나처럼 외장배터리 자체로서의 의미가 아닌 오래 버틸 수 있는 에너지용량이 많은 녀석을 필요로 했기 때문이다. 오로라 외장배터리 PS7200 이라는 제품의 이름처럼 이 녀석의 배터리 용량은 7200mA 이다. 아이폰 5 의 배터리 용량이 1440mA 이니까 이론적으로.. 2012. 12. 16. Evernote(에버노트) 추천 (기본 특성, 팁) Evernote(에버노트) 추천 (기본 특성, 팁) 최근 업데이트 된 Evernote(에버노트)에 대해 써보기로 한다. 에버노트는 모바일 시대에 들어와서 iOS, 안드로이드, 데스크탑, 맥 모든 환경을 아우를 수 있는 노트 프로그램 중 가장 쓸만하고 안정적이다. 더 이상 사용자는 하나의 기기에서만이 아닌 다양한 디바이스와 결합이 되는 노트를 원한다. 언제 어디서든지 손에 잡히는 모든 기기로 입력할 수 있는 에버노트. 에버노트는 기본적으로 '노트북' 이라는 폴더 개념을 사용한다. 이 폴더안에는 여러 가지 노트들을 글, 사진, 오디오, PDF 등 다양한 형태의 노트가 저장이 가능하다. 각각의 폴더 오프라인에서 다운이 가능하여 접속연결 없이도 사용할 수가 있고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여 노트를 공통편집 할 수가 .. 2012. 12. 16. 초코 호두과자 신제품 출시? 맛은..글쎄. 초코 호두과자를 사 먹었다. 가격 3500 원. 10개의 호두과자. 한 개당 350원 꼴..시식용(?)은 아니고 선물용 같다. 초코컵이라고 불리는 컵에 넣어 뚜껑을 덮어 놓았다. 우선 무엇보다도 상태가 별로였다. 호두과자를 먹는 이유는 개인적으로 뜨거운 팥과 호두를 먹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왜 이렇게 만들어진지 한참이 된 느낌인지 먹으면서 내내 만족스럽지 못했다. 그 이유를 살펴보니 세상에나 방부제가.. 방부제가 있을 정도면 매장에서 직접 만든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반증한다. 아마 본사에서 만들어서 각 지점에 배송되나 보다. 이런 식이면 그냥 빵 사 먹는 게 낫지 않나? 인터넷으로 시켜 먹는 게 더 나을지도.. 좋아, 상태는 그렇다 치고.. 맛을 한 번 보자.. 음.. 오물오물.. 이건.. 뭐지? 마치 홈.. 2012. 12. 16. 파크라이3 한글자막 트레일러 파크라이3 한글자막 트레일러 실사같은 동영상.. 한 편의 미드를 보는 느낌. 예약구매가 시작됐나 봅니다. 2012. 12. 15. 기업인들이 세상을 향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불만 우리나라 기업인들이 세상을 향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불만이 있다. 세상 사람들이 자기네를 전혀 신뢰하지도 존경하지도 않고 너무 불신하고 욕을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하는 말이 있다. 선진국에서는 기업인들을 전혀 나쁘게 보지 않고 존경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말은 사실인가? 틀림없이 사실이다. 그럼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그 원인은 너무나도 자명하다. 첫째 선진국의 기업들은 완전히 투명경영을 한다. 그러므로 전혀 탈세를 하지 않는다. 둘째 뒤로 비자금을 조성하는 범법을 저지르지 않는다. 셋째 기업인들은 그렇게 합법적이고 양심적으로 번 자기 개인들의 돈(절대 회사 돈이 아님)에서 천문학적인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고 있다. 세계 최고의 부자로 꼽히는 빌 게이츠는 지금까지 22조 원을 사회를 위해 내놓.. 2012. 12. 15. 우리는 흔히 국민을 나라의 주인이라고 한다. 과연 그런가? 우리는 흔히 국민을 나라의 주인이라고 한다. 과연 그런가? 그 그럴듯한 말을 틀림없는 진실인 것처럼 꼭 믿게 해주는 한 가지 사실이 있다. 투표권 행사. 남 여 유 무식을 불문하고 누구나 한 표씩인 권리. 그 권리는 법 앞에 만인 평등을 입증해 주는 동시에 국민이 나라의 주인인 것을 확실하게 확인시켜 준다. 그러나 이런 말이 있다. 선거는 지배 계급에게 주기적으로 지배와 억압에 대한 정당성을 선사해 주는 제도일 뿐이다. 프루동의 말이다. 그러니까 지배 계급일 수 없는 일반 국민들은 단지 투표장에서만 나라의 주인일 뿐이다. 그들은 투표장을 나서는 순간 지배 계급에게 업신여김 당하고 짓밟히는 노예로 전락한다. 왜 그럴까? 이 말을 들어보라. 정치란 비도덕적인 것이 아니라 무도덕적인 것이다. 마키아밸리의 말이.. 2012. 12. 15. 우리들은 노예들이다. 국민은 나라의 주인인가. 아니다. 노예다. 국가 권력의 노예고, 재벌들의 노예다. 당신들은 이중 노예다. 그런데 정작 당신들을 그 사실을 모르고 있다. 그것이 당신들의 비극이고, 절망이다. 이번에 재벌의 재산권 불법 상속과 경영권 불법 승계 사건이 또다시 벌어졌다. 일광그룹이 일으킨 이번 사건은 몇 년 전 태봉그룹에서 일으킨 사건과 한 치도 다름없이 똑같다. 왜 그런 사태가 거듭 벌어지는 것일까.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하나는, 세상 망칠 그 거대한 경제 범죄를 저지르고도 태봉그룹이 무죄가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나라의 주인이고 이 사회의 주인인 국민과 대중들이 그 끔찍한 사건을 방관하고, 묵인했기 때문이다. 이번에 일광그룹이 일으킨 사건의 내용을 국민은 똑똑히 알아야 한다. 어렵게 생.. 2012. 12. 15. 소설 '허수아비 춤' 만약 이 모든 것이 사실이라면.. 허수아비 춤, 이라는 소설을 읽었다. 만약 이 책에 나오는 모든 내용이 사실이라면..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마치 사실인 것처럼 그 내용을 아래에 적기 시작했다. * 재벌들이 건설사를 만들려고 하는 이유는 비자금을 만들어 주는 절묘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재벌에는 비자금, 부패, 뇌물수수 등의 업무를 총괄하는 비공식 팀이 있다. 물론 겉보기의 직함은 아주 그럴 듯하다. 재벌은 언론과 법조계뿐만 아니라 대학에도 후원금을 적극적으로 기부하여 대학생들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갖게 만들고 교수들을 자기 편으로 하여 각 신문의 칼럼과 강의, 여론 형성에도 유리한 고지를 점하려 한다. 하지만 그 방법은 대학의 교수 후원비나 대학등록금의 인하 따위가 아니다. 대학에 강의실을 짓고 건물 이름을 재벌의 이름을 붙이는 방.. 2012. 12. 13. 아이폰, 아이팟, 아이패드를 구매했다면? Appshopper 를 설치하자! (앱 관리 프로그램) 아이폰, 아이팟, 아이패드를 구매했다면? Appshopper 를 설치하자! (앱 관리 프로그램) Appshopper 앱 다운로드 https://itunes.apple.com/us/app/appshopper/id387037496?mt=8Appshopper 사이트 http://appshopper.com/ 자, 수많은 앱들의 홍수로 드디어 빠질 때다. 수십만 개 있다고는 했지만 쓸만한 앱은 정작 별로 없었던 안드로이드가 아닌 애플로 들어왔다. 나도 이제 그 좋다는 앱들 좀 써보자. 라는 생각에 앱스토어를 켜본다. 근데 뭐가 뭔지 잘 모르겠다. 어떤 앱이 좋다는 거야? 또 쓸만한 앱은 왜 전부 다 유료인 거지? 아니면 이 앱은 누구는 원래 유료인데 무료로 받았다는데 언제 기다리지? 안드로이드는 어차피 전부 다 .. 2012. 12. 11. 이전 1 ··· 6 7 8 9 10 11 12 다음